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정적인 습관 : 인지적 오류

category Self-Improvement/HigherSelf 2018. 8. 8. 16:43
    반응형


    [그림 1] 







    ‘어떤 일을 결정할 때 사람들이 내 의견을 묻지 않았다면 그것은 나를 무시하는 것’, ‘내가 다가가자 사람들이 하고 있던 이야기를 멈추면 그건 나에 대해 안 좋은 얘기를 하고 있던 것’ 평소에 이런 생각을 해본 적이 있다면, 자신의 정신건강을 다시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는 부정적 정신적 습관인 ‘인지적 오류’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한국인 10명 중 9명은 ‘인지적 오류’ 습관을 갖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7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 국민의 건강 행태와 정신적 습관의 현황과 정책대응’ 보고서에 따르면 ‘인지적 오류’ 영역에 해당하는 5개 항목 중 1개 이상에 대해 ‘그런 습관이 있다’고 답한 사람의 비율은 90.9%로 나타났다. 연구원들은 지난해 9월 12세 이상 한국인 1만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 


    ‘하나를 보면 열을 안다고 생각하는 것(선택적 추상화)’, ‘세상 모든 일은 옳고 그름으로 나뉜다고 생각하는 것(이분법적 사고)’, ‘최악의 상황을 먼저 생각하는 것(파국화)’도 인지적 오류의 사례로 제시됐다. 연구자들은 정신건강과 관련이 있는 부정적인 정신적 습관을 7개 영역, 30개 항목으로 나눠 각 항목에 대한 설문조사 문항을 만들었다. 


    과거의 잘못과 실수, 실패를 되새기는 ‘반추’(3개 항목)나 어떤 일을 시작하기도 전부터 시간이 부족하거나 잘못되지 않을까부터 생각하는 ‘걱정’(3개 항목)에서 1개 이상 항목에 해당한다고 답한 이의 비율은 각각 82.4%, 70.8%였다. 자신을 가치 없는 인간으로 여기는 ‘자신에 대한 부정적 사고’(4개 항목)는 60.1%, 미래에 대한 희망이 없는 ‘무망’(4개 항목)은 47.6%, 어려운 일에 직면하면 회피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보는 ‘자기 도피’(4개 항목)는 48.2%였다. 


    보고서는 “부정적인 정신적 습관이 많이 관찰되는 노인 계층과 저소득층에 대한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원문보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1702171742001#csidxcc6ff88964de155952203283bb68b2f 




    인지적 오류란 무엇일까?


    상황이나 사건에 대한 정보처리과정에서 범하는 체계적인 잘못을 말한다. 너무 어렵기만 하다 무슨 말인가? 현실을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한고 자기의 생각을 현실이라고 착각하는 것이다.


    어떻게 보면 인지적 오류를 인지하는 것 자체가 어려울 것이다. 자신의 생각이 잘못된지 모르기 때문이다. 하지만 심리학 책이나 다른 서적을 통해서 자신의 잘못된 행동을 통해서 자신의 잘못된 생각들을 알아가는 경험을 하고 있다. 


    최근 놀라운 기사를 발견했다. 전 국민 90% 이상이 인지적 오류를 범하고 있다고 한다. 필자는 HigherSelf를 통해서 나의 인지적 오류들을 하나씩 해결하며 성격과 행동의 변화시켰다. 글을 쓰게 된 것도 나와 같은 상황에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시작했었다. 하지만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인지적 오류를 범하고 있는지는 몰랐다. 인지적 오류의 범위는 내가 생각했던 것 보다 다양하고 주변 사람들의 말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것들이었다.



    역기능적 인지도식(잘못된 인지체계)


    사람은 성장과정을 통해 자기 나름대로 자신과 세상을 이해하는 삶의 틀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삶의 틀을 통해 세상과 자신 그리고 타인들에 대한 의미와 관계를 체계화 시키는데 이렇게 체계화된 인지적 틀을 인지도식이라고 한다. 역기능적 인지도식이란 개인의 내면에 있는 인지도식의 내용이 부정적인 것을 말한다. 역기능적 인지도식을 가진 사람은 자동적으로 자신과 세상, 그리고 다양한 삶의 상황에 대해 부정

    적인 해석을 하게 된다.



    자동적 사고란 무엇인가?


    1. 사람들이 어떤 사건에 접하게 되면 아무런 의식적 노력 없이 자동적으로 떠오르는 생각을 말한다.

    2. 자동적 사고는 사람들이 자신의 경험으로부터 생성한 신념과 가정을 반영한다. 심리적 장애를 가진 사람의 자동적 사고는 흔히 왜곡돼 있거나, 극단적이거나 부정확하다. 자동적 사고의 내용은 크게 세가지로 구성된다.

    1.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

    2. 미래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

    3. 세상과 타인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



    인지적 오류의 유형


    1. 흑백사고 (이분법적 사고)


    완전한 실패 아니면 대단한 성공, 좋은 것 아니면 나쁜 것과 같이 양극단으로만 구분하고, 둘 사이의 회색영역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는 것이다.


    커뮤니티를 하다보면 사람들은 자신의 도덕적 잣대를 다른 사람에게 들이미는 경우를 자주 볼 수 있다. 자신의 잣대의 기준으로 조언을 해주는 것은 나쁘다고 할 수 없지만 강요를 하고 폄하가 되는 것은 문제가 된다. 도덕성이란 것 자체가 역지사지 개념으로 '자기에게 허락이 되는 것을 남에게 하지말자'라는 것으로 사람마다 기준이 다를 수 있음을 인지하지 못한다. 삶을 대하는 태도, 문란함의 기준, 정치적 색깔등 사람들은 잣대의 다양성을 인정하지 못하고 자신만의 기준을 가지고 좋다 나쁘다를 구분 짓는다. 


    2. 선택적 추상화(정신적 여과)


    부정적인 일부 세부 사항(실패 또는 부족한 점)만을 기초로 결론을 내리고, 전체 맥락 중의 중요한 부분을 무시하는 것이다.


    한 예시로는 '그 사람이 나에게 나쁘말을 했기 때문에, 그사람은 나를 싫어할거야' 라는 생각이다. 모든 상황을 보지 않고 내가 기분상하는 말을 했다고 그 사람이 나를 싫어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이런 경우는 직장 상사로 부터 많이 발생한다. 직장 상사는 내가 잘못한 일을 가지고 꾸짖는 거지만 부하 직원은 나를 싫어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3. 자의적 추론


    충분하고 적절한 증거가 없는데도 부정적인 결론을 내리는 것이다.


    이런 경우는 자존감이 낮을 경우 자주 발생한다. 자신의 과거에 실패한 경험을 토대로 자신의 미래까지 추론하는 방식이다. 어제 시험에 떨어졌어도, 내일 시험에 떨어진다는 법은 없다. 과거에 얽매이는 생각은 세상을 부정적으로 보게 만든다.


    4. 과잉 일반화


    한 두 건의 사건에 근거하여 일반적인 결론을 내리고 무관한 상황에도 그 결론을 적용시키는 것이다. 한두 번의 실연으로 '언제나', '누구에게나' 실연당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그 예이다.


    5. 확대 및 축소 (극대화 및 축소화)


    자신의 불완전한 점은 극대화 시키고, 좋은 점은 과소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6. 개인화(귀인)


    실제로는 자기와 관련이 없는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자기가 직접적인 원인을 제공 했다고 여기는 것이다.


    한 가장이 자기 아들이 의사가 되지 못했다고, 자신의 삶을 비관하며 술을 마시다 간경화로 사망하였다. 아들은 자신이 아버지를 죽여다 생각한다. 하지만 이건 아버지가 선택한 길이고 아버지가 선택한 죽음이다. 아들은 어떠한 원인을 제공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아버지는 자신이 이루지 못한 꿈을 아들에게 기대었지만, 그 꿈마저 이루지 못해서 삶을 비관하며 술만 마신 것이다. 여기서 아들이 꿈을 이루지 못한게 죄라고 말하는 사람은 아마 없을 것이다. 하지만 아들은 그것을 깨닫지 못하고 매일 밤 악몽에 시달리며 죄책감을 가지고 살고 있다. 


    7. 정서적 추론


    객관적 현실보다는 느낌을 토대로 그 자신, 세계 혹은 미래에 관해서 추론을 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나는 부적절하다고 느낀다. 고로 나는 쓸모없는 사람이다."라고 추론하는 것이다.


    집에만 있는 사람들은 자신의 무기력함을 느낀다. 이런 무기력함이라는 정서적 감정을 통해서 자기는 가치없는 사람이라고 판단을 한다.


    8. 긍정격하


    개인이 자신의 긍정적인 경험을 격하시켜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이전 보다 나아진 나를 보며 자신의 성취를 긍정적으로 평가해야하지만, 다른 사람들을 보며 자기가 이룬 성취를 격하시키는 것을 말한다.

    (HigherSelf 남들과 비교하는 나를 참고)


    9. 파국화


    개인의 한 사건에 대해서 지나치게 과장하여 두려워하는 것을 말한다.


    무대 공포증 같은 경우다. 발표를 실패해도 다른 사람들은 나를 비난하거나 공격하지 않는다. 사람들이 나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걱정하며 두려움에 떤다.


    10. 잘못된 별칭 붙이기


    과잉 일반화의 극단적인 형태로서, 한 두사건에 기초하여 자신을 완전히 부정적으로 규정하고 자신에게 별칭을 붙이는 것이다.



    변화를 막는 장애물


    자신의 부정적인 성격, 내성적인 성격을 고치고 싶어하는 사람들은 많다. 하지만 왜 그들은 자신의 성격을 바꾸지 못할까? 성격에 대한 이미지 때문이다. "성격은 원래 안바뀌어.", "내가 외향적인 척한다고 내가 바뀌는게 아닌걸." 이런 고정적인 이미지 때문이다. 이런 이미지 때문에 성격을 바꾸려는 시도 조차하지 않는 것이다. "나는 원래 찌질해. 나는 원래 소심해." 태어날때 부터 찌질하고, 소심한 사람이 어디있는가. 사람은 사회적 동물이고, 유전과 사회적 경험을 통해 인간은 완성된다. 유전과 환경중 어느 것이 더 큰 영향을 주는 아직도 학회에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정설은 유전과 환경의 상호작용의 결과다. 즉 고정된 것은 아니다. 똑같은 유전자에 다른 환경은 다른 성격을 형성한다는 것. 우리의 변화는 성격이 가지고 있는 고정적 프레임을 깰 수 있을 때 변화가 가능할 것이다.






    위의 잘못된 인지적 오류들을 외우면서 자각하는 것도 많은 도움이 될 것같다. 필자가 생각하는 좀 더 쉬운 방법은 객관적으로 현실을 바라보고 있는 지를 깨닫는 것이다. 내가 생각하는 생각들을 들여다보고 감정을 들여다보고 이것들을 제 3자의 관점에서 봤을 때 현명한 판단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출처


    [그림 1] http://info.pipa.co.kr/etc/20866

    [인지적 오류의 유형]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bbd6259&logNo=50191578273&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kr%2F

    http://outofshell.tistory.com/58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