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감사하는 마음이 왜 필요할까?
[그림 1]
감사하는 마음은 내가 가진 환경에 만족감과 행복감을 준다.
필자가 말하고자 하는 건 종교적인 이야기가 아니다. 인간의 특성에 대해서 말하고자 한다.
우리는 왜 감사하는 마음을 가져야 하는지 얘기해보자.
2. 인간의 특성과 감사하는 마음
인간은 무언가 성취를 통해서 도파민을 느끼고 행복감을 느낀다.
가령, 보너스를 받던가, 선물을 받던가, 혹은 원하는 기업에 취직하는 일, 원하는 대학교에 입학하는 일등...
인생을 살면서 무언가를 성취하고 얻는 행복의 기쁨은 삶을 더욱 풍족하게 해준다.
하지만?
이 성취의 기쁨은 오래가지 않는다. 예를 들어보자.
예시 1
고3 수험생들은 대학교 진학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그들은 대학만 가면 자신이 원하는 전공, 새로운 친구들을 만날 생각, 지긋한 수험생활을 종료할 수 있다는 생각에 마냥 수능이 끝나기를 기대한다. 원하는 대학에 합격한 수험생들은 하늘을 날아갈 것만 같은 생각에 하루하루가 즐거울 것이다. 하지만 대학에 합격을 한 이후, 일주일 혹은 한 달만 되어도 그때의 기쁨과 행복은 희미해져만 간다. 수능만 끝나도 행복할 것 같은 하루들이 점점 무료해져만 간다.
예시 2
매일같이 공사판을 전전하며, 하루하루 삶을 살아가는 사람이 있다. 그 사람은 로또만이 자신이 살 수 있는 유일한 희망이라고 생각한다. 어느 날 그는 로또에 당첨되고, 이 지긋한 삶을 끝낼 수 있다는 행복감에 하루하루가 행복하였다. 하지만 그 생활도 오래가진 못했다. 그는 돈에 대한 욕심이 더욱 생겼고, 도박과 투기를 하다가 모든 돈을 잃었다. 오히려 전보다 빚이 쌓여 파산 신고를 할 지경에 이르렀다.
여기서 말하고 싶은 바는 무엇일까?
인간은 자신의 환경에 적응하게 된다. 그래서 자신이 이루었던 성취들에 대한 행복도 오래가지 못한다. 원하던 대학을 진학했지만, 대학생활에 적응 할 때쯤, 대학교를 합격했을 때 행복은 사라지고 학점과 취업 스트레스에 쌓여 산다. 더 이상 대학교에 입학 했을 때의 행복감은 오래가지 못했다.
인간은 환경에 적응하면서 기존에 이루었던 성취에 대해서 망각을 하게 된다. 그러면서 더 나은 성취를 위해 노력한다. 어쩌면 이런 특성 때문에 인간이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는 걸지도 모른다. 하지만 앞만 보고 인생을 사는 사람들은 자신이 가진 것에 대해 망각하고, 자신이 많은 것을 가진 인간이라는 잊게 된다. 얼마나 슬픈가? 자신이 이룬 업적을 잊고 항상 새로운 목표에만 매진한다는 것을..
어쩌면 끝없는 쳇바퀴의 굴레일지도 모른다.
3. 감사하는 마음 갖기
[그림 2]
기독교의 성경책, 불교의 법경의 공통적인 말씀은 항상 자신의 삶에 감사하라는 것이다. 이들은 세상을 좀 더 넓게 보고 깨달음을 얻은 현자이다. 그들은 하나같이 자신에게 이로운 것에 감사하는 마음을 가지라고 말씀하신다. 요즘 들어 소확행이라는 말이 유행하고 있다. 자신에게 얻을 수 있는 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 소확행의 의미는 소소한 것에도 감사하자는 의미도 담겨있다.
글을 정리해보자. 인간은 항상 자신이 가진 환경에 적응하고, 자신이 가진 것을 망각한다. 물론 또 다른 성취를 위해 나아가는 것이 인간일지 모른다. 하지만 자신이 가진 것에 대해서 생각하는 자세는 인생을 더욱 풍요롭게 만들 수 있다는 걸 잊지 말자. '자신이 무엇을 가지고 있는 게 중요한 게 아니라, 어떻게 사용하는지가 중요하다.'라는 말이 있다. 내가 가진 것에 감사하는 마음은 자신이 가진 것을 상기시키고, 삶에 만족감과 행복감을 선물할 것이다.
ps. 감사하는 마음 가지기 연습은 매일 감사일기를 쓰는 것으로 길러질 수 있다. 매일 5가지 혹은 7가지의 감사할 일을 적어보자. 이렇게 쓰다보면 감사하는 마음이 습관이 되고, 삶은 더욱 풍요롭게 될 것이다.
출처
[그림 1] http://secret0space.tistory.com/archive/20140410
[그림 2] http://news.buddhapia.com/news/news_content_view.asp?news_cd=BNC0014232&news_ver=0&part=
http://www.eholynet.org/bbs/board.php?bo_table=pds_img&wr_id=114&page=